택배종사자 직업병 및 예방 문제 & 답
Q1. 근골격계유해요인 조사는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하는 경우에 2년 마다 해야한다.
① O
② X
정답: ② X
Q2. 택배차량 운전작업 중 주로 야간에 운행되고 주행거리(시간)가 긴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운전자 건강관리에 유의해야하는 것은 배송 차량 운전작업이다.
① O
② X
정답: ② X
Q3. 간선운송이란 대형차량을 이용하여 허브물류센터와 지역별 서브물류센터 사이를 이어주는 육상운송을 뜻한다.
① O
② X
정답: ① O
Q4. 택배화물 분류 작업시 사용되는 롤러컨베이어에서는 이송시 화물이 부딪치면서 낙하에 의해 발에 부상을 입을 수 있다.
① O
② X
정답: ① O
Q5. 택배기사는 산재보험 적용을 받지 않는다.
① O
② X
정답: ② X
Q6. 롤러컨베이어의 작업안전대책이 아닌 것은?
① 방호덮개 및 안전난간은 정비, 점검이외에는 개방하지 말 것
② 이동 화물의 이동간격을 좁게 하여 충돌되지 않도록 할 것
③ 컨베이어 이송라인 하부는 주기적으로 청소 및 정리정돈 할 것
④ 전동컨베이어는 접지를 실시할 것
정답: ② 이동 화물의 이동간격을 좁게 하여 충돌되지 않도록 할 것
Q7. 2018년 통계 기준, 택배업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재해형태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?
① 물체에 맞음, 부딪힘
② 떨어짐, 교통사고, 넘어짐
③ 끼임, 뇌혈관질환, 무리한 동작
④ 넘어짐, 부딪힘, 끼임
정답: ② 떨어짐, 교통사고, 넘어짐
Q8. 화물분류작업의 주요 특성이 아닌 것은
① 화물분류작업은 화물과 운반기계를 다루기 때문에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.
② 일정하게 물동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숙련도가 높다.
③ 야간작업이 상대적으로 많다.
④ 대형간선차량과 지게차 등이 혼재되어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.
정답: ② 일정하게 물동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숙련도가 높다.
Q9. 상, 하차 작업의 재해유형이 아닌 것은?
① 중량물 반복 상차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
② 상차된 적재함 문 개폐 시 손가락 끼임
③ 상차된 적재물의 떨어짐, 무너짐
④ 벨트 컨베이어에서 작업 중 끼임
정답: ④ 벨트 컨베이어에서 작업 중 끼임
Q10. 택배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중 거리가 먼 것은?
① 높낮이 조절기능이 없는 운반구 사용
② 자동화물분류시스템 설치
③ 차량 승하차시 발디딤대 장착
④ 운전석 좌우에 공기스피링을 이용한 리프팅 장치 장착
정답: ① 높낮이 조절기능이 없는 운반구 사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