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산업안전보건 LAW드맵 근로자 정기교육 (사무직 외): 제조업 고열 작업안전 문제 & 답

by Jab로그 2025. 4. 7.
반응형

제조업 고열 작업안전 문제 & 답

 

 

 

 

 

Q1. 피부의 표피, 진피층은 물론, 피하 지방층까지 손상되어 두꺼운 피부껍질(가피), 부종을 형성하는 화상은 3도화상이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① O

 

Q2. 작업장 온도에 따른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에서 중작업에 속하는 것은 시간당 350~500kcal의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을 말한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① O

 

Q3. 고열작업장 휴게실의 온도는 26℃ 가 적당하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① O

 

Q4. 다량의 고열물체를 취급하거나 현저히 더운 장소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에게 방열장갑 및 방열복을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② X

 

Q5. 고열작업 중 건강하고 고온 순화된 근로자의 체온이 38.5℃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작업중단 신호이므로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① O

 

Q6. 혹독한 노동, 운동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, 체온조절 중추가 마비되어 기능 상실로 발생되는 것을 ‘열 쇠약증’이라고 한다.

① O

② X

 

정답: ② X

 

Q7. 다음 중 고열작업 장소가 아닌 것은?

① 녹인 금속을 운반하거나 주입하는 장소

② 고무에 황을 넣어 열처리하는 장소

③ 갱내에서 고열이 발생하는 장소

④ 다량의 액체공기,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장소

 

정답: ④ 다량의 액체공기,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장소

 

Q8. 작업장 온도에 따른 작업시간과 휴식시간 즉, 작업휴식시간비에서 경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온도는 어느 정도인가?

① 30.0℃

② 32.0℃

③ 34.0℃

④ 36.0℃

 

정답: ① 30.0℃

 

Q9. 고열작업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?

① 고열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

② 고열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 연장방법

③ 고열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법

④ 응급 시의 조치사항

 

정답: ② 고열작업장에서의 작업시간 연장방법

 

Q10. 1도화상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
① 상처부위의 피부가 빨갛게 되고 따끔따끔 아프지만 약 48시간 후에는 통증이 없어진다.

② 대부분 수포(물집)를 형성한다.

③ 피하조직의 부종을 동반하고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.

④ 피부의 표피, 진피층은 물론, 피하 지방층까지 손상된다.

 

정답: ① 상처부위의 피부가 빨갛게 되고 따끔따끔 아프지만 약 48시간 후에는 통증이 없어진다.

 

Q11. 고온에 의한 생리적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. 부적합한 것은?

① 신장 장해

② 발한

③ 피부혈관 수축으로 혈류량 감소

④ 피부 온도 상승

 

정답: ③ 피부혈관 수축으로 혈류량 감소

 

Q12. 열경련에 의한 응급조치 중 염분이 함유된 물을 마시게 하면 도움이 된다. 이 때 염분수를 만들려면 물 1리터에 소금 얼마정도가 적당할까?

① 0.5스푼

② 1스푼

③ 1.5스푼

④ 2스푼

 

정답: ① 0.5스푼

 

Q13. 다음에서 고열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?

① 전기로에 의하여 광물이나 금속을 제련하거나 정련하는 장소

② 가열로 등으로 광물, 금속 또는 유리를 가열하는 장소

③ 가열된 금속을 운반, 압연 또는 가공하는 장소

④ 도자기나 기와 등을 운반하는 장소

 

정답: ④ 도자기나 기와 등을 운반하는 장소

 

반응형